-
유방암 초기증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방암은 2022년 기준으로 전체 암 발생 10.1%로 발생률 5위를 차지할 정도로 흔한 암입니다. 유방암 환자의 대다수는 여성으로, 남성 환자 117명, 여성 환자 24,806명으로 여성 암으로는 1위를 차지했습니다.
유방암은 조기에 발견하면 치료가 잘 되는 암이고, 5년 상대 생존율이 국소일 경우 90% 정도, 국한일 때는 98%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보건복지부. 2022년 12월 발표 자료)
유방암 초기증상을 알아보고 해당 사항이 있다면 자가검진 및 유방암 검사로 조기 발견하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1. 유방암 초기증상
사진 출처 :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유방암은 유방 내에 머물러 있는 양성 종양과 유방 바깥으로 퍼져서 생명에 위협이 되는 악성 종양 2가지가 있습니다. 유방은 여러 종류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세포 중 어느 것이든 암세포로 바뀔 수 있어서 그 종류가 꽤 많습니다. 보통은 유방의 유관과 소엽 세포에서 발병하기 때문에 유방암이라고 하면 유관과 소엽 상피세포에서 발생한 것을 의미합니다.
다음은 유방암 증상 8가지입니다. 해당 사항이 있으시다면 정확한 진단을 위해 병원을 방문하시는 게 좋습니다.
- 통증이 없는데 가슴에서 멍울이 만져집니다.
- 가슴뿐만 아니라 겨드랑이 부근에서도 덩어리가 만져집니다.
- 피가 섞인 분비물이 유두에서 나오고 가슴 부분에 습진이 생깁니다.
- 유방의 피부가 안쪽으로 움푹 파여있습니다. 유두가 함몰되어 있습니다.
- 멍울은 없는데 가슴이 빨갛게 부어있고 통증과 열감이 있어 염증처럼 보입니다.
- 가슴이 오렌지껍질처럼 보이고 두꺼워졌습니다.
- 겨드랑이의 림프샘이 커져서 손으로 만져집니다.
- 가슴이 많이 평소와는 다르게 망가져 보입니다.
2. 유방암 진단 방법
사진 출처 : 백세시대, 보건복지부
1) 자가검진
자신 스스로 가슴을 만져봄으로써 멍울이나 다른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비용이 들지 않고 위험하지 않은 방법입니다. 유방암은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완치율과 생존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자가검진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자가 검진하기 좋은 시기는 생리가 끝나고 2~7일 후입니다. 이때가 가슴이 가장 부드럽기 때문입니다. 자궁 제거술이나 폐경이 된 여성분들은 매월 일정한 날을 지정하여 휴대폰 알림을 맞추어 놓고 잊지 않고 자가검진 하는 게 좋습니다.
- 1단계 : 거울 앞에서 가슴 관찰하기
- 2단계 : 앉아서 또는 서서 손으로 가슴 부분을 가볍게 압박해 보기(단단함을 검사하는 방법)
- 3단계 : 누운 상태에서 손으로 가슴 부분을 가볍게 눌러보기
자가검진을 하면서 살펴야 할 사항은 멍울, 통증, 유두 분비물, 유두 함몰 여부, 유두의 주름, 유두 습진, 가슴 피부의 변화, 가슴 크기 변화, 유두의 위치 변화 등을 꼼꼼히 살펴보아야 합니다.
아래는 국가암정보센터에서 제공하는 가슴 자가검진 방법 동영상입니다.
2) 의사 진찰
유방암의 발견과 병이 진행된 단계를 판정하는 데 있어 의사의 진찰은 매우 중요합니다. 자가검진으로 발견하지 못한 유방암을 임상 진찰로 찾아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슴에 멍울이 만져진다고 해서 모두 암은 아닙니다. 섬유낭종성의 변화이거나 양성 종양인 지방종일 수 있습니다.
병원의 진단 검사의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 유방촬영술 : 유방암 진단의 필수적인 검사입니다. 초음파 검사로 찾지 못한 조기암 병변을 찾는데 중요한 검사입니다. 95% 정도의 정확성을 보이고 5mm 정도의 작은 덩어리를 찾아낼 수 있으므로 유방암 조기 진단에 필수적입니다.
- 유방 초음파 검사 : 유방 조직 밀도가 높아서 유방촬영술로 진단이 어려울 때 사용합니다.
- MRI : 자기공명영상(MRI)은 비용이 많이 들지만 방사선 노출의 위험성이 없고, 유방 양쪽 모두를 비교할 수 있으며, 영상이 선명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 CT : 단층촬영(CT)은 유방암으로 확진 후 다른 장기로 전이 여부를 확인하고 병이 진행되고 있는 단계(병기)를 판정할 때 사용합니다.
- PET :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은 전이가 의심되지만, 전이 위치를 확인하기 어려울 때 사용하는 진단 검사입니다.
3. 유방암 치료 방법
유방암은 암이 진행된 정도, 발생한 부위 및 크기에 따라 수술할지, 항암화학요법을 사용할지, 방사선치료, 항호르몬 요법을 사용할지 결정하게 됩니다.
수술이 가능한 경우는 수술하고 수술 후 보조요법 순으로 진행합니다. 수술할 수 없는 경우는 항암화학요법이나 항호르몬 요법, 방사선치료를 이용해서 증상 완화와 유방암 진행을 최대한 늦추는 방법입니다.
1) 유방 수술
- 유방 보존적 절제술 : 유방을 부분적으로만 제거하는 수술입니다. 유방암의 조기 진단율이 높아져서 절제하는 유방의 부분을 최소화하는 보존적 절제술이 많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 유방 전절제술 : 대흉근에 암이 전이되지 않았다면 유방의 근육은 제거하지 않는 방식입니다. 팔에 부종이 생기지 않으며, 어깨를 사용하는 데도 장애가 없고, 쇄골 아래에 피부가 안쪽으로 들어가는 부위가 생기지 않습니다.
2) 겨드랑이 림프샘 수술
- 액와부 림프샘 곽청술 : 유방암에서 처음 맞닥뜨리는 림프샘을 찾는 초기 암에서 시행합니다. 유방암이 림프샘으로 전이되었다고 판단되면 림프샘 곽청술을 시행합니다.
- 감시 림프샘 생검술 : 수술로 1~3개 정도의 림프샘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부작용도 줄일 수 있어서 유방암 수술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3) 유방절제술 후 재건술
유방을 절제한 후 환자 본인의 근육 또는 인공 보조물을 이용하여 가슴의 올바른 모양을 만드는 수술입니다. 심리적 만족감과 미용 효과가 크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4. 치료 후 관리(생존율)
유방암은 치료 후 5년 생존율이 76%로 양호한 암이지만, 치료 과정에서 정서적, 육체적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암입니다. 가족과 지인들은 유방암 환자가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편안한 환경을 만들어주어야 합니다. 환자 자신도 빠른 시일 안에 일상생활에 적응하면서 마음의 안정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유방암은 수술 후 5년 이내에 가장 많이 재발하므로 첫 2년간은 3개월, 3년째부터는 6개월마다 정기검진을 받는 게 좋습니다. 평소와 다른 증상이 계속해서 나타난다면 담당 의사와 꼭 상담하셔야 합니다.
[유방암 5년 상대생존율 추이]
유방암 1993~1995년 1996~2000년 2001~2005년 2006~2010년 2011~2015년 2016~2020년 남녀전체 79.2% 83.6% 88.7% 91.2% 92.8% 93.8% 여 79.3% 83.6% 88.7% 91.2% 92.8% 93.8% 남 77.1% 84.3% 87.5% 89.9% 90.8% 92.5% [보건복지부 중앙암등록본부, 2022년 12월 발표 자료]
5. 유방암 환자 식생활
유방암에 특정 식품이나 영양소, 비타민이 좋다고 하는 말들이 난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발생한 암이 갑작스럽게 식생활을 바꾼다고 해서 완화되거나 사라지지 않습니다. 다만 올바른 식습관으로 몸의 영양소를 균형 있게 섭취함으로 수술과 항암치료를 견딜 튼튼한 체력을 만드는 것입니다.
전문가들이 유방암 환자들에게 권장하는 바람직한 식생활은 아래와 같습니다.
- 편식하지 않고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등의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합니다.
- 튀긴 요리는 삼가고 쪄서 먹는 음식이 좋습니다. 탄 음식은 먹지 않습니다.
- 육류는 되도록 기름이 없는 것을 먹고, 뼈째 먹는 생선이 좋습니다.
- 칼슘을 많이 섭취합니다. (우유, 멸치, 마른 새우, 김, 미역, 다시마, 시금치, 참깨, 두유, 두부 등)
- 비타민A, 비타민C, 비타민E, 엽산이 많이 함유된 음식을 먹습니다.
- 설탕, 밀가루가 들어간 음식은 삼가고, 소시지, 베이컨과 같은 훈제식품도 먹지 않습니다.
- 소량의 음식을 자주 먹습니다. 저녁 식사는 최소한으로만 먹습니다.
- 금연해야 합니다.
- 표준적인 체중을 유지해야 합니다.
6. 마치며
유방암 초기증상과 자가 검진 방법, 유방암 환자에게 좋은 음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유방암은 조기 발견하면 예후가 좋은 암입니다. 유방암은 40대에 가장 많이 발병하므로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꼭 받으시게 가장 중요합니다.
[함께 보면 건강한 글]
갱년기 증상 15가지 자가 진단
갱년기 증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갱년기는 나이가 들면서 폐경이라는 자연스러운 전환기를 맞게 됩니다. 갱년기를 잘 극복하면서 건강하게 보내야 그 이후의 삶이 행복합니다. 갱년기 증상
here-and-now.tistory.com
갑상선암 증상 TOP 8 수술 후 좋은 음식
갑상선암 증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갑상선암은 크게 양성과 악성으로 구분됩니다. 갑상선에 생긴 혹이나 결절을 갑상선암이라고 부르며, 이 중에서 악성 결절을 갑상선암이라고 판단합니
here-and-now.tistory.com
위암 초기증상 7가지 및 생존율
위암 초기증상 및 원인, 위암 생존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위암은 보통 위 선암을 위암이라 칭합니다. 위암은 위 점막에 발생하는 것으로 위 주변의 림프샘을 따라 퍼지거나 혈류의 파급으로
here-and-now.tistory.com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암 초기증상 7가지 및 생존율 치료방법 (0) 2023.07.23 대장암 초기증상 9가지 및 생존율 (0) 2023.07.22 천식에 좋은 음식 8가지 (1) 2023.07.20 갱년기 증상 15가지 자가 진단 (0) 2023.07.19 갑상선암 증상 TOP 8 수술 후 좋은 음식 (0) 2023.07.18